방수상부외단열공법 = 역전지붕 = 지붕층의 외단열
방수의 핵심요소) 구배, 직각금지, 수증기증발의 고려, 자외선 노출금지
방수의 악심요소) 물의 고임, 직각, 온도차의 의한 수증기의 팽창과 수축, 자외선
# 구배
평지붕은 1~2%의 구배
콘크리트 타설시 구배를 완성해야한다.
콘크리트 골조에서 구배를 만들지 못하면 무근콘크리트로 작업을 한다.
무근의 타설시 가장얇은곳의 두께 = 30mm이상 ~ 100mm이하로 한다.
와이어메쉬는 지름 4mm 간격 150mm 이상으로 한다.
무근콘크리는 구배에서 문제가 발생된다.
1) 무근이 얇으면 자외선에 의한 건조로 균열이 발생
2) 와이어메쉬의 누락으로 균열이 발생
"구배와 배수구"
평지붕 기준 : (1) 구배 1~2% (2) 배수구의 간격은 통상 6m~7m
배수구 관경 | |||||
75mm | 100mm | 125mm | 150mm | 175mm | 200mm |
139m2 | 285m2 | 498m2 | 756m2 | 1156m2 | 1615m2 |
* 옥탑, 계단탑등이 있으면, 옥탑지붕면적 + 외벽의 면적(지붕에 접하는) 계산한다.
"배수구와 파라펫의 이격거리"
배수구의 관경의 효율성은 이격거리와 상관있다.
파라펫과 배수구의 거리 250mm 이면 배수가능면적 100%(1/1)
250mm이하이면 배수가능면적 66%(2/3)
파라펫과 붙어있으면 50%(1/2)
# 직각금지
원인 : 열에 의한 수축과 팽창 - 평지붕의 슬라브는 수평방향으로, 파랏펫난간은 수직방향으로 수축과 팽창이
발생하며 이 힘을 많이 받는 모서리에서 사인장균열이 발생
* 시공 : 30x30mm의 삼각형재(나무)를 모서리에 접촉한다.
#수증기 증발의 고려
콘크리트 내부의 수분이 안정권에 도달하는 평형함수율에 도달하는 기간은 최소 2년이다.
- 노출도막방수의 문제
1. 우레탄도막방수(초록평지붕) : 해당방수는 유기질의 방습이 되는 방수제품으로 콘크리트 내부의 수분이 배출이 안된다.
2. 무기질방수 : 투습이 가능하나, 표면경도가 약해 노출로 사용시 수명이 짧다
표면경도를 위해 무기질방수제로 표면코팅을 하면 투습이 안된다.
- 외기노출방수
ks f4906 모래붙인 루핑 = 평지붕 방수층 위에 시트방수를 평지붕에 설치한다.
이는 방수의 표면을 보호하고 자외선도 차단해준다.
1. 우리나라에는 과거의 기술자들이 사라졌다.
2. 완벽한 방수라 할순없다.(비노출방수가 답이다)
- 누름(무근)콘크리트 어원
방수층을 표면강도의 문제있으며, 콘크리트 내부수분의 증발로 방수층을 밀어낸다.
이 밀어내는 힘을 억누르고 자외선으로부터 방수층을 보호하는 무거운 콘크리트를 타설하면서
무근의 이명이 누름콘크리트로 칭해졌다.
평지붕에 노출된 무근콘크리트는 팽창이 발생하면서 외벽면을 밀어내고 외벽면에 균열을 조장한다.
해결)무근콘크리트와 파라펫 사이에 완충재를 넣거나 파라펫이 직접 닿지 않도록 길이를 조절한다.
- 균열 유도 줄눈
무근의 열팽창은 끝단에서의 문제가 아닌 전반의 문제 이기에 균열을 유도하기 위한 줄눈을 시공한다.
줄눈=메지의 목적 : 신축응력을 제어하여 균열을 일정한 방향으로 유도
줄눈의 폭 : 5~8mm
줄눈의 깊이 : 30~40mm
줄눈의 간격 : 2.5m이내(누름층 두께의 30배 이하)로 하며 파라펫 등의 바닥과 수직부의 교차부위를
기점으로 50~60cm의 갓둘레
- 보호몰탈의 어원
무근을 칠때, 균열방지를 목적으로 철망을 설치하면서 방수층을 철망과 부딫치면서 방수층이 손상됬다.
그래서 무근 타설전 철망으로부터 방수층을 보호하기 위하여 얇게 몰탈미장을 하기 시작한것이 보호몰탈의 시작이다.
- 콘크리트의 축열체
도시의 열대야 현상은 콘크리트 구조체가 축열체로 기인하기 때문이다.
곧 무근방수를 안정화시켰다 한들, 도시에 미치는 악영향은 남아있다.
# 방수상부외단열공법 = 역전지붕 = 지붕층의 외단열
방수층의 노출이 없으면서 외단열이기에 수분의 증발은 내측으로 발생.
방수층 시트방수가 좋치만 도막방수도 무관 |
단열재 방수상부외단열공업은 소량의 물이 단열재로 스며들수있으며로 물에 강한 압출법단열재를 사용한다. 압출법단열재는 최대 150mm이므로, 200mm로 시공시 상부에 50mm+하부에 150mm으로 시공한다.(접착x 추후에 시공의 용이성을 위하여) |
투습방수지 배수판을 통과한 빗물이 단열재 사이로 들어가지 못하게 차단 100mm 정도를 겹쳐서 설치하며 사방벽에 쇄석의 높이만큼 치켜올려서 설치한다. |
배수판 배수판 배수를 용이하게 하고 단열재를 집중하부로부터 보호한다 뚫린 배수판으로 두께는 30mm |
부직포 쉽게 헤지는 얼룩무늬 부직포가 아닌 하얀색의 단색 부직포로 설치 |
쇄석 지름 35~45mm로 두꼐는 50mm이상 설치(*잡석과 하지말자, 잡석은 흙이 섞인 자갈) |
데크설치
데크를 위한 바탕면을 만들때 슬라브 고정없이 쇄석 위에 설치한다.
설치완료 시 단단히 고정된다.
드레인
높이조절 발코니 루프드레인(pvc)
조경주위 드레인
펀칭메탈을 조경방향에 설치 그위 파쇄석을 두어야 막힘을 방지
데크주위 드레인
펀칭메탈을 데크방향에 설치
파라펫 내측 벽면마감
수성페인트+6t crc보드(폴리우레탄접착폼으로 부착)
압출법단열재(75mm이상)(폴리우레탄접착폼으로 부착)
높은 파랏펫
지붕마감면으로부터 약 1m 높이 지점에서 방수턱을 만들어 주면된다.
태양광패널설치
열교와 방수층의 손상없이 설치가 필요하며 방법은 경계석을 두고 쇄석층 위에 설치한다.